2024년 11월 말 경 10년 넘게 사용하던 KT를 해지하고 프리티 알뜰폰으로 갈아탔습니다. 사실 처음에는 usim, esim을 하나씩 가입해서 듀얼폰으로 사용할 생각이었는데 usim으로 가입한 요금제가 몇 달 동안 데이터가 부족하지 않아서 그냥 usim만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데이터를 많이 사용한 달에 20일경 데이터를 소진하게 되면서 esim도 추가로 가입하게 되었습니다.
esim은 티플러스 이벤트 요금제로 가입하였는데 후기 공유합니다.
티플러스 요금제 가입후기
제가 사용하고 있는 알뜰폰 요금제는 프리티 350분 5G로 와이파이만 사용하다 보니 데이터를 그동안은 많이 사용하지 않아서 반도 사용하지 않은 달이 많습니다. 이번에 백수가 되면서 여기저기 지하철로 돌아다니게 되었는데 지하철에서 SKT가 잡히기는 하지만 잘 안 잡히는 구간도 있고 또 걸어 다니면서 길에서 데이터도 사용하다 보니 20일 정도가 되니 데이터가 거의 다 소진되었더군요.
처음부터 usim, esim 모두 하나씩 가입하여 사용할 생각이었기 때문에 알뜰폰을 하나 더 가입하기로 하였습니다.
우선 모요에서 요금제를 검색합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든 요금제는 티플러스의 가성비플러스입니다. usim의 경우 매번 바꿔 껴야 하기 때문에 평생 요금제로 선택했고 esim의 경우 이벤트 기간이 끝나면 다른 요금제로 간편하게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벤트 요금제 중에서 골랐습니다.
esim개통비용은 2,750원이지만 어차피 어떤 요금제를 선택하는 내야 하는 요금이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프리티 요금제가 5G인데 이걸 다 못쓰는 달도 많아서 부족한 달에 사용하면 충분할 것 같습니다. 이렇게 2가지 요금제를 사용한다고 해도 한 달에 내는 금액은 프리티 요금제 2,970원, 티플러스 요금제 990원으로 총 4천 원이 되지 않고 esim 요금제의 경우 7개월 후 1천 원 이하 요금제로 다시 변경할 생각입니다.
예전에 프리티 이벤트 요금제를 가입한 적이 있는데 서브폰으로 사용하다 보니 3개월 이내에 데이터 100MB나 음성 15분을 사용해야 하는 것을 까먹고 아무것도 사용하지 않고 와이파이만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그러면 3개월 이후 정상 요금이 청구되니 서브폰으로 사용하시는 분도 권장사항은 꼭 지켜주셔야 해요.
이제 가입을 해 봅니다. 신규개통으로 선택합니다.
셀프개통이 가능한 시간이 있는데 제가 10시 이후에 가입을 하려다가 안된다는 창이 떴습니다. 그대로 가입 신청을 하면 상담원을 통한 개통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셀프 개통을 원하면 그냥 다음날 가능한 시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 가입합니다. 어떤 sim으로 가입하는지 선택합니다. esim으로 가입하는 경우 esim 가능 가입 휴대폰인지 확인하는 절차가 있습니다.
설정으로 들어가서 어디를 확인해야 되나 했는데 휴대폰에서 *#06#을 누르면 바로 정보가 나오더라고요.
이렇게 화면이 뜨면 캡처한 이미지를 업로드합니다. 그럼 자동으로 고유넘버가 입력되요.
마지막으로 요금을 납부할 카드 정보나 계좌 정보를 입력하면 끝입니다.
개통진행 중이라는 화면이 보이고,
개통이 완료되면 문자가 도착합니다. 문자와 이메일로 QR코드가 도착하는데 이걸로 esim활성화를 진행하시면 돼요. 개인적으로 문자로 온 QR코드로 어떻게 들어가야 하는지 몰라서 PC로 이메일을 열고 촬영해서 진행했네요. ㅋ
이렇게 esim 활성화가 시작되고 설정이 완료됩니다.
원래 사용하던 번호는 메인, 이번에 개통한 esim은 보조라고 저장했어요. 그리고 메인 번호의 데이터는 거의 다 사용했으니 데이터는 보조회선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지정합니다.
설정을 완료하고 설정에서 셀룰러로 들어가니 각각의 번호가 적혀 있고 보조 번호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고 나오네요.
이제 어플을 다운받습니다. 알뜰폰이라고 해도 저는 개인적으로 반드시 어플을 통해 사용량을 알 수 있는 요금제를 가입하고 있습니다.
알뜰폰 가입 전 확인해야 할 것 - 2. 알뜰폰 통신사별 사용량, 실시간 요금 조회하기
어플을 다운받은 후 가입을 하고 들어가 보니 가입한 날을 기준으로 데이터와 문자, 전화를 얼마나 사용 가능한지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알뜰폰이 나오면서 데이터 6G를 한 달 990원에 이용할 수 있다니 정말 너무 좋은 것 같습니다.
7개월간 잘 사용하겠습니다.
+ 불편한 점 추가
다른 분들 후기를 보니 듀얼폰을 사용할 때 통신사가 다르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회선의 통신사가 표시되어 어떤 번호를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데 저의 경우 usim과 esim 모두 SKT이다 보니 둘 다 SKT라고 나와서 살짝 불편하군요.
다만 저로서는 KT는 지하철에서 노무 안 터지고 LG U+의 경우 해지를 하면 스팸 전화가 무지막지하게 온다는 카더라가 있어서 SKT 회선이 최선이긴 했는데 다음에 번호이동을 할 때는 KT회선도 한 번 고려해 봐야겠습니다.
알뜰폰 가입을 고려하고 계신 분은 모요에서 한 번 요금제를 비교해 본 후 가입해 보시기 바랍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글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유산균을 고르는 방법(CFU란? 몇 억 CFU를 먹어야 할까?) (0) | 2025.04.11 |
---|---|
이사로 인한 퇴사,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0) | 2025.04.08 |
부비동염과 가열식 가습기 (0) | 2025.04.05 |
요거트와 금속 수저? (0) | 2025.04.04 |
저속노화(低速老化)란? 저속노화의 뜻과 실천 방법 (0)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