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가 됨에 따라 2026년에는 우리나라의 전체인구의 약 20%가 65세 이상 노인이 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안정적인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최대한 노후 계획을 잘 세워두어야 할 것입니다.
최근 들어 노후 계획으로 본인의 집을 담보로 연금을 받는 주택연금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주택연금이란 무엇인지 간단하게 살펴보고 주택연금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연금
본인이 소유하고 한 집을 담보로 매달 연금 형태로 자금을 받을 수 있는 노후 대비 정책입니다. 경제 활동이 힘든 노년층의 가게에 보탬이 되고자 생긴 제도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지만 단점도 존재하기에 주택연금 가입을 생각하고 있다면 잘 알아보고 결정하여야 할 것입니다.
주택연금 가입조건
1. 본인 또는 배우자 중 한 명이 만 55세 이상
1. 부부 기준 보유한 주택 중 1주택만 가입 가능
3. 시가 9억 원 이하의 주택
4. 2주택자의 경우 공시가격의 합산이 9억 원 이하
5. 공시가격이 9억 원 초과 2주택자는 1주택을 3년 이내에 팔면 가능
공시가격이 없는 주택일 경우 시가표준액 적용, 또는 시세나 감정평가액으로 적용
주택연금 가입절차
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신청을 하면 주택금융공사에서 가입자의 주택에 대해 보증 심사를 하게 됩니다. 보증심사가 완료되면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보증서를 발급하고 가입자는 발급된 보증서로 금융기광에 주택연금대출을 신청하여 연금을 지급받습니다.
주택연금 장단점
1. 장점
- 일정 금액의 돈을 넣지 않고 집을 담보로 장기적으로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집을 담보로 맡겼어도 계속 내 집에서 생활할 수 있으며 여기에 연금을 받을 수 있어 주거의 문제나 생활비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 가입자와 배우자 모두에게 평생 거주를 보장하고 부부 중 한 명이 사망하더라도 연금의 감액 없이 동일한 연금액을 지급합니다.
- 국가에서 지급을 보증하므로 지급 중단 등의 위험이 없습니다.
- 담보로 설정된 집값이 떨어지더라도 결정된 연금액은 낮아지지 않습니다.
- 부부가 모두 사망하면 두택을 처분하여 금액을 정산합니다. 사망 전까지의 총 연금수령액이 집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금액이 상속인에게 청구되지 않지만 총 연금수령액이 집값보다 낮은 경우 남은 금액이 상속인에게 상속되므로 주택 처분가액보다 적은 연금을 받았다면 자녀에게 남은 금액을 물려줄 수 있습니다.
- 5억 원 이하의 주택은 25%의 재산세 감면 혜택이 있습니다.
2. 단점
- 주택의 가격을 실제 거래 금액보다 낮은 금액인 시가로 계산하기 때문에 그만큼 연금 수령액이 낮아집니다.
- 주택의 가격이 오르더라도 연금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 소유자나 배우자 중 한 명은 실제로 거주해야 하기 때문에 월세나 전세를 줄 수 없습니다.
- 집의 소유자는 본인이기 때문에 재산세와 건강보험료는 그대로 납부해야 합니다.
- 국민연금과는 다르게 물가 상승이 반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연금의 금액의 가치는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 재산세나 주택 관련 세금을 연체할 경우 주택연금이 해지될 수 있으며 주택연금이 해지되면 그동안 받은 연금과 연보증료, 대출이자를 모두 한꺼번에 갚아야 합니다.
- 대출상품에 해당되므로 이자, 가입비 그리고 보증수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
- 종신까지 수령이 가능하지만 연금총지급액을 계산해 보면 대부분 주택가격보다 낮게 계산이 됩니다.
+ 한국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간단하게 나의 예상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연금이란 무엇인지, 장점과 단점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이 전재산으로 노후에 사용할 금융자산이 전혀 없으며 수익도 없을 경우에 가입하면 좋을 상품이지만 잡값은 시간이 지나면 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만약 주택연금에 가입한다면 어느 정도의 손해는 감수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노후에도 어느 정도의 수익이 있거나 생활비로 사용할 여유 자산이 있는 경우 다른 상품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 상품권을 SSG페이에 등록하고 60% 이상 사용 후에 환불받는 방법 (0) | 2024.03.10 |
---|---|
월세를 지불하고 있는 경우 연말 정산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법 (0) | 2023.12.20 |
중고차 구입 시 침수차량인지 구별하는 방법 (0) | 2023.12.12 |
주택담보대출에서 LTV, DTI, DSR이란? (0) | 2023.12.10 |
일 년간 어떻게 사용해야 연말정산에 유리할까(feat. 신용카드, 체크카드 사용 비율) (0) | 2023.12.08 |
댓글